Data 분석을 통해 대략적인 흐름을 파악하였다면, 해당 조건을 저장한 후 기간을 정하여
Back Testing 을 수행해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지난 데이터를 기준으로 구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미래는 어떻게 반응할 지 모르지만, 테스팅을 통해 예측에 작은 영역이라도 도움이 되지 않을
까 합니다.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조건 항목에서 수행할 기간, 종목 분산 수량, 목표판매기준, 손절기준, 최대보유일수, 조건이
동일할 때 어떤 순서로 선택할지 등을 지정 합니다. 거래비용은 임의로 줄 수 있지만, 테스트
단계에서는 거래세금으로 0.0015 만 비용으로 제한합니다.
위 화면의 조건은 예제로 정말 간단하게 5일 기울기가 0 미만 이었다가, 0 이상으로 올라오는
종목중 PBR 이 2 미만인 종목을 가져오도록 구성해 보았습니다. ... 물론 이런 간단한 방식으
로는 하지 않지만, 간단한 예로 구성해 보았습니다. ( 기준일 대비 5일 전에 5일 기울기가
-3 보다 적고 4일째도 0보다 적은 후 2일 전에 0보다 크고 결정이 필요한 전일에 0보다 큰
종목을 가져와서, 해당 종목이 많으면 20일 기울기가 높은 순으로 정렬 후 구매할 수 있는
범위까지 구매하는 구성 입니다.
결과는 간단한 Chart 로 구성해 보았습니다. 하루 단위 보유 종목 등의 정보는 일단 출력
하지 않습니다.
다행히 해당 기간에는 손실을 보지 않는 유형의 Chart 가 표현되고 있습니다.
해당 기간에 대해서 구체적인 내용은 Grid 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위 조건으로 20211130일에는 일정실업을 사서 손절매 했다는 표현이고, 20211201 에는
위메이드플레이를 구매해서 목표가로 판매하였다는 내용등을 표기 합니다.
대충 구매일, 판매일, 구매단가, 판매단가, 보유일수, 이익, 세금 등을 표기합니다.
일자가 최근으로 가면 해당 조건에 맞는 종목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Trading 에서
종목을 발굴하는데 조금은 도움이 되지 않을 까 합니다.
위 내용을 기간을 늘려서 동일 조건으로 진행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2021년 4월에서 2022년 5월 말(현재) 까지 하락기에 위의 단순한 패턴으로 구성하였을 때
이익도 손해도 별로 없는 그런 유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grid 에서 종목을 클릭하면 해당 종목의 Chart 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향후 여력이 된다면, 종목에 대한 Dart 의 공시 정보 등을 조회하여 심층적인 분석이 가능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비슷하게 구성이 되겠지만, 이동평균과, 20일 추세 등을 보조 하였을 경우 아래와 같은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 조건에 따라 상승하기도 하강하기도 하기 때문에 기간과 상황
은 개별적으로 확인 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
2021. 11 ~ 2022. 05월 까지의 Back Testing
그 아래는 2021. 04 ~ 2022. 05 까지의 동일 조건 Back Testing 입니다.
상승시점과 하강시점에도 유지될 수 있는 자기만의 패턴을 구성하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사실 주식을 잘 모르고 단지 기본적인 통계 수치를 이용하여 구성해 본 것이라 많은 오류가
프로그램에서도, 이해한 부분에서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접근하는 방법도 있을 것 같아서 기록해 보았습니다.
향후 여력이 되면 해당 모듈을 발전시키고, 종목별 trend 를 AI 등을 통해 학습해 보는 것도
재미 있을 것 같습니다.